윈도우11 설치 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로컬 계정 만드는 방법

윈도우11 설치 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로컬 계정 만드는 방법

 

"윈도우11 설치 중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로컬 계정을 만들 수는 없을까?"
"인터넷 없이 또는 오프라인 계정으로 설치하고 싶다면 이 글을 참고하세요."
"정식 방식과 우회 방법까지 모두 설명해드립니다."

1. 로컬 계정과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차이

로컬 계정(Local Account): 인터넷 없이도 사용 가능, 단일 컴퓨터 기준, Microsoft 서비스 연동 불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클라우드 동기화, 앱 스토어, OneDrive, Edge 즐겨찾기 동기화 등 가능

보안과 연동 편의성 측면에서는 Microsoft 계정이 유리하지만, 프라이버시와 간편함 측면에서는 로컬 계정이 더 자유롭습니다.

2. 공식적인 로컬 계정 생성 경로 (Pro 이상)

  1. 설치 중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화면에서 "로그인 옵션" 클릭
  2. "오프라인 계정 사용" 또는 "로컬 계정 만들기" 선택
  3.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입력 → 힌트 입력
  4. 다음 버튼을 눌러 설치 진행

이 방법은 윈도우11 Pro, Education, Enterprise 버전에서만 정식 지원됩니다.

3. Home 에디션에서 우회로 로컬 계정 만들기

윈도우11 Home은 로컬 계정 생성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우회가 가능합니다:

  1. "인터넷에 연결" 화면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
  2. "네트워크에 연결해야 합니다" 메시지가 나오면 Shift + F10 키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 실행
  3. 명령어 입력: OOBE\BYPASSNRO → Enter
  4. 설치가 자동 재시작되며, 로컬 계정 생성 옵션이 표시됨

이 방식은 Home 에디션에서도 정상적으로 로컬 계정을 만들 수 있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입니다.

4. 설치 후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기

이미 Microsoft 계정으로 설치했더라도, 이후 로컬 계정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1. 설정 > 계정 > 내 정보로 이동
  2.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클릭
  3. 암호 입력 → 사용자 이름 설정 → 로그아웃 및 로컬 계정 전환

FAQ

Q1.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면 어떤 점이 제한되나요?

A1. Microsoft Store, OneDrive, 설정 동기화, 클라우드 백업 등 일부 기능은 사용이 제한됩니다.

Q2. 로컬 계정 생성이 불가능하면 어떻게 하나요?

A2. OOBE 우회 명령을 통해 강제로 로컬 계정 옵션을 띄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Q3. 로컬 계정으로 사용하다 나중에 MS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나요?

A3. 가능합니다. 설정 > 계정 > 내 정보에서 계정 전환을 선택하면 됩니다.

Q4. 보안 측면에서는 어떤 계정이 더 유리한가요?

A4. Microsoft 계정은 2단계 인증, 암호 복구, 장치 찾기 등 보안 기능이 더 풍부합니다.

Q5. Home 에디션도 로컬 계정 설치가 지원되나요?

A5. 기본 UI에서는 지원되지 않지만, 인터넷 연결 해제 + OOBE 우회 명령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윈도우11에서 로컬 계정을 만드는 방법은 공식 경로 외에도 우회 방법이 존재합니다. 자신의 사용 목적과 보안 수준에 맞는 계정을 선택하시고, 위 설명을 참고하여 설치 중 올바른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